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심리학 분야와 방법론
    심리학 2023. 11. 21. 04:00
    반응형

    심리학의 학문 분야

    심리학 내에서는 일반적으로 기초학문, 응용학문 및 방법학문으로 구분됩니다. 또한 경험적 연구와 응용심리학의 실제에 이론적 심리학 (메타이론)을 대조시킬 수 있습니다.

    심리학 기초 학문 분야

    이 학문 분야 내에서는 다른 기초학문의 일부인 것과 특정 맥락에서 기본적인 인식을 제공하는 것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전자의 경우, 심리학적 방법론, 일반심리학 및 생물심리학이 포함되며, 후자의 경우 사회심리학, 발달심리학 및 인격 및 차이 심리학이 포함됩니다. 최근의 분류(예: 학사과정의 경우)는 일반심리학과 생물심리학을 "행동 및 경험의 인지 및 생물학적 기초"로 묶고, 인격, 차이, 사회 및 발달심리학을 "내적 및 대인간적 과정의 기초"로 묶고 있습니다.

    일반심리학은 인지, 지각, 학습, 기억, 사고, 문제해결, 지식, 주의, 의식, 의지, 감정, 동기 및 언어 및 심리운동 기능과 같은 기초적인 심리 기능 영역에서 보편적인 법칙을 조사합니다. 생물심리학(또는 생물심리학)은 반면 행동과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물리적 기능 영역에 초점을 맞추며, 생리심리학, 심리생리학, 심리생물학, 신경심리학 또는 신경면역학 또는 신경내분비학과 같은 여러 하위 분야로 구성됩니다. 또한 방법론과 함께 다양한 방법(예: 뇌 활동(예: 사건 관련 전위), 심박수, 혈압, 피부 전도 활동, 혈류 상태(예: 얼굴), 근육 활동 등)을 통해 생리적 행동 상관관계를 측정합니다(예: 뇌파, 영상 진단 방법, 실험실 매개 변수 분석). 일반심리학과 방법론과 함께 수학적 모델 생물심리학/신경심리학 이론 및 뉴런 모델 시뮬레이션을 통한 뉴런 메커니즘 가설 검증 등도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반면 차이 및 인격 심리학은 위에서 언급한 영역에서 개인 간의 차이를 다룹니다. 이러한 차이는 인격 모델, 지능 등의 개념으로 개발됩니다. 이러한 차이는 개인 간 차이(사람들 간의 차이) 또는 개인 내 차이(시간이 지남에 따라 한 개인 내에서 발생하는 차이) 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차이를 구체화하고 측정하는 것은 차이 심리학에 속합니다. 따라서 심리 진단의 중요한 기초입니다.

    발달심리학은 출생부터 죽음까지의 인간의 심리 변화(개인 내 변화, Ontogenese)를 조사합니다. 예를 들어 발전 요소(유전자, 환경), 발전 단계, 지각, 심리운동, 인지 능력 발달, 기억, 언어, 성격 등이 연구 대상입니다. 더욱 발전된 형태는 사회학, 의학, 심리학 및 교육학을 통합한 발전 과학/(en)의 형성입니다(Petermann의 대표).

    사회심리학은 광의의 의미에서 사회적 상호작용이 개인의 사고, 감정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합니다(Allport 1968. "an attempt to understand and explain how the thought, feeling and behavior of individuals are influenced by the actual, imagined, or implied presence of others"). 대상 분야는 인식의 사회적 측면(예: 인물 및 상황 인식, 편견, 고정관념 및 추론 등), 감정의 사회적 측면(예: 공격성 등), 대인관계에서의 매력, 친사회적 행동, 태도, 의사소통 또는 그룹 프로세스(소수 의견의 영향력, 그룹 결정 프로세스, 그룹 사고, 복종(예: Milgram 실험 또는 Stanford Prison 실험 등), 그룹 성과, 집단 간 관계)입니다.

    심리학 응용 분야

    심리학을 응용하는 주요 분야로는 임상심리학, 조직심리학, 경제심리학, 교육심리학 등이 있습니다. 또한 심리학의 기타 응용 분야로는 공학심리학과 응용인지 연구, 교통심리학, 인사심리학, 미디어심리학, 법률심리학, 경찰심리학, 문화비교심리학, 노인심리학, 스포츠심리학, 환경심리학, 정치심리학, 리더십심리학, 건강심리학, 암심리학, 응급 및 완화치료 심리학, 행동 금융, 광고심리학, 중독 예방 등이 포함됩니다.

    심리학적 방법론

    심리학적 방법론은 심리학의 모든 영역에서 사용되는 방법론을 다룹니다. 다른 심리학 분야에 대한 기존 방법론을 제공하며, 메타분석과 같은 자체 개발 방법이나 다른 학문 분야의 방법론 적용 등을 통해 방법론을 개선하고 보완하는 자체 연구 분야이기도 합니다. 이 분야는 과학 이론, 윤리, 실험 방법, 평가 연구, 통계학 및 정보학 등의 주제를 다룹니다. 심리 진단은 검사 이론, 검사 설계 및 분석과 같은 방법론 분야와 관련이 있습니다. 진단은 모든 심리학 분야에 대한 개입의 기초이기 때문에 모든 분야에서 중요합니다.

    또한, 다른 심리학 하위 분야를 지칭하거나 연구 대상을 명명하는 분류도 가능합니다. (예: 인지심리학, 감정심리학 등) 또는 모든 관련 학문 분야를 종합적으로 설명하는 방식으로도 사용됩니다. 이러한 분류는 특정 내용을 다루는 것으로 구성되며, 심리학적 지식을 보조 또는 부수적으로 다루는 경우(예: 비심리학 전공자를 위한 강의 등)에도 사용됩니다. 이러한 경우 기초 분야를 다루는 용어가 다르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예: 일반심리학은 미국에서 101 과목으로도 불립니다). 또한 교육심리학은 교사를 위한 심리학입니다. 심리학의 분석 수준 각 개인은 여러 작은 시스템으로 구성된 복잡한 시스템이며, 이는 다시 큰 사회적 시스템의 일부입니다. 따라서 상호 보완적인 분석 수준에서 작업이 이루어집니다. 이러한 다양한 분석 수준은 생물학적, 심리학적 및 사회문화적 요인의 영향을 모두 고려하는 접근법을 형성합니다. 이 세 가지 중요한 분석 수준은 개인의 행동과 정신적인 과정에 영향을 미치고 조절합니다.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